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드론제작정비비행
(Drone Manufacturing, Maintenance, and Flight)
드론 제작, 정비, 비행에 대한 학습을 위하여 안전에 기반한 기초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드론의 구조와 원리등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직접 제작 및 정비 기술을 학습한다.
프로세서통신설계
(Processor Communication Design)
MCU, FC, 무인로봇이동체 개념을 이해하고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통신과 인터페이스 설계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하고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방식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통신 구조를 운영 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신산업무인항공기설계
(New Industry Unmanned Aerial Vehicle Design)
무인항공기설계, 개발 및 최적화 기술을 배우며. 무인항공기의 구조적, 기계적, 전기적 설계뿐만 아니라, 최신 신산업 동향을 반영한 혁신적인 드론 시스템을 설계 학습을 한다.
프로그래밍언어I
(Programming Language I)
무인항공기 제어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의 문법을 익히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작성함으로써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한다.
무선정보 통신기기
(Wireles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이론과 실무를 다루며, 현대 무선통신 시스템과 장치의 기본 원리, 설계, 응용과 5G/6G, 사물인터넷(IoT), 블루투스, Wi-Fi 등 다양한 무선기술을 이해하고 ICT 기반 유무선통신기기의 개념을 학습한다.
컴퓨터일반및설비기준
(Computer Fundamentals and Equipment Standards)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설비 관련 기준을 이해하는 것과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초를 학습하고, 정보통신 설비 및 전자장비 설치 기준, 안전 규정 등을 다룬다. ICT 인프라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학습한다.
산업용드론제작정비비행
(Industrial Drone Manufacturing, Maintenance, and Flight)
산업용 드론 제작, 정비, 그리고 비행 운영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실무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드론 기술의 기초부터 심화 실습까지 체계적으로 배우며,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학습한다.
전기전자통신회로
(Electrical,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Circuits)
전기, 전자,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본 회로의 이론과 실습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회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학습한다.
시뮬레이션기반무인기설계
(Simulation-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Design)
무인기 설계 및 성능 최적화를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무인기의 설계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사용해 다양한 비행 환경과 조건을 분석하고, 설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학습한다.
프로그래밍언어II
(Programming Language II)
프로그래밍 언어의 고급 기능과 설계 원리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역량을 배양하고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과 고급 기법을 다루며, 효율적이고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내용을 학습한다.
정보전송시스템일반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undamentals)
정보의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한 시스템의 기본 원리와 구조와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 전송 매체, 프로토콜, 네트워크 아키텍처 등을 다루며, 정보통신 시스템 설계와 운용에 필요한 기본 개념과 기술을 학습한다.
정보통신네트워크안테나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ntenna)
정보통신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안테나의 원리, 설계, 및 응용을 다룬다. 전파 이론과 안테나의 기본 동작을 이해하고,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안테나 설계 기술과 네트워크 적용 학습한다.
신산업VTOL제작정비비행
(New Industry VTOL Aircraft Production Flight)
미래 항공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의 제작, 비행 시험 등을 다루는 실습 중심과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VTOL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방법을 배우고, 실전적인 제작 및 비행 경험을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학습한다.
AI드론제어프로그래밍 I
(AI Drone Control Programming)
드론의 자율비행 및 제어 시스템을 AI 기술을 통해 구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과 AI SW기술을 활용한 자율 비행 시스템 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항공촬영공간정보통신
(Aerial Photography and Spatial Information Communication)
드론 및 항공촬영 기술을 활용해 공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신 기술을 통해 전달하거나 분석하는 방법으로 항공촬영을 통한 공간 정보 수집 및 3D맵핑, 영상처리 등을 학습한다.
무인기공법설계
(Unmanned method Design)
무인기공법에 대한 설계를 하며 UAV의 구조, 제어 시스템, 비행 성능 등을 최적화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설계를 완성하는 데 중점을 두는 내용을 학습한다.
창업실무
(Entrepreneurship Practice)
창업의 기본 개념과 실무적인 기술을 교육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사업 아이디어 발굴, 시장 조사, 비즈니스 모델 설계, 자금 조달, 법적 절차 등 창업 과정 전반을 다루며, 실습 중심 학습을 한다.
임베디드시스템
(Embedded Systems)
임베디드 시스템의 기본 개념, 설계 원리, 및 응용을 학습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 프로세서 등 하드웨어와 실시간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을 다루며, IoT, 로봇, 드론,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역량을 배양한다.
PLC프로그래밍
(PLC Programming)
기본 원리와 프로그래밍 방법을 학습하며,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PLC의 설계, 구현 및 유지보수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신산업UAM정비운용
(New Industry UAM Access Operation)
도심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시스템의 정비와 운영에 필요한 기술 및 지식을 배우며 미래의 항공 교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UAM 기기의 안전한 운영과 유지보수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학습한다.
AI드론제어프로그래밍II
(AI Drone Control Programming)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자율 비행, 환경 인식, 경로 계획 등을 구현하는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과 드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이해하고, AI 알고리즘과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드론 제어 기술을 학습한다.
드론관제통신비행실습
(Drone Control Communication and Flight Practice)
드론의 비행을 실시간으로 관제하고,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여 비행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과 드론의 비행 제어, 관제 시스템, 통신 기술을 실습을 통해 익히고, 드론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실무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학습을 한다.
인공지능영상통신
(Artificial Intelligence Video Communication)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영상 처리, 전송, 분석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AI 기술을 영상 전송 및 처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고품질 영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캡스톤디자인II
(Capstone Design II)
학문적 지식과 실무적 기술을 바탕으로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종합설계 과목이다. 학생들은 문제 정의, 설계, 개발, 테스트, 발표까지의 전 과정을 경험하며, 협업, 문제 해결,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배양하는 학습을 한다.
전기전자통신설계
(Electrical,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Design)
전자회로, 전력 시스템, 통신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 방법론과 응용 기술을 다루며, 실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설계로 통신 기술과 융합된 전기전자 설계의 실무적인 접근 방식을 학습한다.
생산자동화통신설계
(Production Automation Communication Design)
통신 네트워크 설계 및 구현 기술과 공정 제어, 센서 네트워크, PLC, HMI 등 자동화 요소 간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설계 방법론과 실무 기술을 다루며,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역량을 배양하는 학습을 한다.
현장실습
(On the Job Training)
각 분야별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론과 현장의 차이를 이해하고 추후 취업진로설정 등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다.
현장실무 실습I
(Job Practical TrainingⅠ)
산업체 현장에서 실무와 이론적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자신의 적성과 희망 진로에 따라 산학 협동업체에서 실질적 체험을 통하여 경험을 쌓고 취업과 연결된 교육을 받는다. 본 프로그램은 산학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현장실무 실습II
(Job Practical TrainingⅡ)
산업체 현장에서 실무와 이론적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자신의 적성과 희망 진로에 따라 산학 협동업체에서 실질적 체험을 통하여 경험을 쌓고 취업과 연결된 교육을 받는다. 본 프로그램은 산학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한다
로컬드론촬영편집I
(Local drone Shooting edit I)
소형무인기를 이용하여 촬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촬영장치 점검, 촬영 비행, 편집 기초 과정을 학습한다.
로컬드론촬영편집II
(Local drone Shooting edit II)
소형무인기를 이용하여 촬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촬영장치 점검, 촬영 비행, 편집 심화과정을 학습한다.
에코방재빅데이터전문가II
(Eco disaster prevention big data expert II)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빅데이터 산업은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에코 방재를 고려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빅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 등을 학습하고자 한다.
생활과안전
(Life & Safety Ⅰ)
드론을 활용한 분석 활동하는 교과목으로써, 상황 발생시 드론을 활용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조사 및 분석 활동을 학습한다.